https://myaccount.google.com/u/3/apppasswords 로그인 - Google 계정이메일 또는 휴대전화accounts.google.com위 링크를 타고 바로들어가지는지 모르겠다 아마 2중인증이 되어있으면 될지도모른다 Google 계정Google은 사용자마다 원하는 개인정보 보호 설정이 다르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Google 계정에서는 사용이 간편한 컨트롤과 개인정보 보호 진단 같은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런 도구www.google.com 위 링크로 들어가서 왼쪽 메뉴 중에서 아래 버튼을 찾는다. 2단계 인증 설정이 안되어있다면 할수있도록한다.2단계 인증이 설정되어있어야만 앱 비밀번호를 발급받을수있다. 2단계 인증이 되어있다면 이 버튼을 찾아서 들어간다. ..
npm install -g firebase-toolsfirebase loginfirebase init 위 명령어를 입력해 firebase-cli를 설치한다로그인 및 초기화를 해서 프로젝트, 기능을 초기화한다 이메일을 보낼때 nodemailer를 사용하기때문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서 설치한다cd functionsnpm install nodemailer 코드를 작성하기 이전에 메일을 보낼때 필요한 gmail계정을 준비한다.이 계정은 2차인증 까지 되어있어야하며, 앱 비밀번호를 생성해 그 비밀번호를 기억해놓아야한다. 앱 비밀번호 생성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된다. [ETC] 구글 앱 비밀번호 발급 방법https://myaccount.google.com/u/3/apppasswords 로그인 - Google 계..
Riverpod Riverpod는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이다. 상태관리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위젯간에 데이터 공유를 효율적으로 하기위한 방법이다.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는 Riverpod 이외에 여러 종류가 있다. Getx Provider Bloc 위의 3가지 이외에도 더 있지만 종류가 많아 유명한 3개만 적었다. Riverpod은 위에 3가지 라이브러리 중 Provider를 개선한 버전이라고 한다. 무엇을 개선했는지는 이후에 정리를 한번 다시해볼수있도록할 예정이다. 나는 일단 들이박고 보기때문에 바로 핵심 기능부터 알아보고 사용해보았다. 사용해보면서 알아낸 신기한부분 지금까지 Getx만 사용하다가 Riverpod을 해보면서 신기했던점은 전역으로 provider를 선언하는점이었다. Provider P..
SRP? SRP(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즉 단일 책임 원칙은 객제지향 프로그래밍과 설계의 SOLID 원칙 중 하나로, 각 클래스나 모듈은 오직 하나의 책임만을 가져야 한다는 원칙이다. SRP를 사용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 SRP를 지키는 경우에 따라오는 장점은 어마무시하다. 유지 보수성 향상: 한 클래스가 한 가지 책임만을 가지면, 그 클래스를 수정하는 것은 해당 책임과 관련된 변경 때문이다. 따라서 예기치 않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재사용성 향상: 특정 기능만을 수행하는 클래스나 모듈은 다른 프로젝트나 부분에서도 쉽게 재사용할 수 있다. 테스트 용이성: 한 가지 책임만을 가진 클래스는 테스트하기가 더 쉽다. Flutter로 SRP 알아보기 간단한..
설치 과정 NestJS를 설치하기 위한 과정은 아래와 같다. homebrew 설치 nvm 설치 nodejs 설치 1. homebrew 설치 homebrew는 macOS용 패키지 관리자다 아래 사이트를 방문해서 homebrew를 설치한다.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설치를 완료하면 환경변수를 설정하여 설치를 마무리한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서 파일을 연다. vim ~/.zshenv i를 입력하여 입력모드로 변경 후에 아래 코드를 작성한다. export PATH="/opt/homebrew/bin:$PATH" 작성을 완료하면 esc를 누른 다음 :wq를 입력해서 작성을 완료한다. 이후에 터미널을 재시작하면 brew사용..
최근에 백엔드 개발을 시작하게 되면서 많은 프레임워크 중에서 NestJS를 선택했다. 왜 내가 NestJS를 선택했는지, 그리고 NestJS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보려고 한다. 1. NestJS란 무엇인가? NestJS는 TypeScript 기반의 백엔드 프레임워크로,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설계되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함수 반응형 프로그래밍의 요소들을 섞은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2. 왜 NestJS를 선택했나? NestJS의 개발 문서를 확인해 보면 모듈 단위로 코드가 관리되는것을 볼수있었다. 이점은 규모가 큰 프로젝트를 할 경우에 코드의 유지보수, 이후 확장성에 큰 장점을 줄것으로 기대되어 선택하게 되었다. 백엔드를 해본것은 Firebas..